키르히호프의 법칙 측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7:54
본문
Download : 키르히호프의 법칙 측정.hwp
육안으로 측정(measurement)하기 힘들어서 조원들이 돌아가면서 측정(measurement)을 했습니다. 도중에 값이 자꾸 변하여 조원들은 나오는 값으로 mean or average(평균) 값을 어림잡아서 했습니다. 각 조원마다 눈금을 읽는 방법이 약간 씩 차이가 있어서 값이 다를 수 있으나 전류계의 단위 간격도 2A정도 이었습니다. (A),(A)에서도 전류계의 바늘이 거의 40A에 가리켰습니다.
이번 실험의 목적은 전류를 연결하여 전류의 들어오는 양과 나가는 양을 확인하여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알아내는 것입니다. 전류계의 단위 간격을 1A나 0.5A정도 축소시킨다면 조원들이 눈금을 읽기 편리하고 데이터의 값들도 더 자세하게 기록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이번 실험의 목적은 전류를 연결하여 전류의 들어오는 양과 나가는 양을 확인하여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알아내는 것입니다. 분명이 저항의 위치를 다르게 잡으면 전류가 다르게 측정(measurement)될 줄 알았으나 전류의 측정(measurement)하는데 있어서 큰 변수를 주진 않았습니다.
먼저 측정(measurement)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색 저항의 값을 알려면 전(前)실험에서 다루었던 색깔 환산표가 나옵니다. 만약 그렇게 측정(measurement)을 한다면 理論값과 측정(measurement)값의 차이가 더 작아질 수 있습니다. 읽는 방법이 다르다고 해도 소숫점을 정확히 측정(measurement)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고 그냥 생각나는대로 값을 어림잡았습니다.
실험 과정은 책에 있는 내용과 장치가 다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과definition 불편함을 없었습니다. 아마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생각해서 색 저항 띠의 환산값이 작은 쪽에서 큰 쪽으로 방향을 돌린다면 더 큰 effect를 기대할 수 있다고 봅니다. 키르히호프 측정(measurement) 장치, 건전지, 전압계만으로 이용해서 전류의 값을 구해야 합니다.
키르히호프의 법칙,전류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순서
전류의 측정(measurement)은 건전지를 낀 상태에서 적당한 (A),(A)에 꽂습니다. 이것은 정확한 측정(measurement)을 할 수 없으나 전자전류계로 삽입시켜 값을 낸다면 좀 더 쉽게 측정(measurement)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A),(A)의 값들도 28.3, 28.5, 28.4등 소숫점 차이밖에 나지 않았습니다. 색깔을 보고 값을 구했으나 어느 쪽으로 저항을 달아야 할지 몰라서 있는대로 진행했습니다.
키르히호프의 법칙 측정
다. 40이면 조원들도 그렇게 알고 기록하였으나 값이 완전히 같으면 형평성에 문제가 되어서 원하는 값을 얻어 낼 수가 없었기 때문에 같더라도 소숫점으로 약간씩 플러스 마이너스해서 값을 도출하였습니다. 처음에는 회로도를 떠올려 건전지, 전선, 저항 등을 직접 연결해서 만들어야 하는 줄 알았지만 장비가 있어서 실험하기 편했습니다. 손과 건전지를 완전히 고정시켜서 값을 내려고 해도 잘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Download : 키르히호프의 법칙 측정.hwp( 68 )
설명
다음 건전지의 전압을 측정(measurement)할 때에는 다른 장치를 이용해서 전압을 측정(measurement)했습니다. 잭에 삽입하면 전류계의 바늘이 움직이나 측정(measurement) 장치로는 여러 사람들이 쓴 물건이기 때문에 쉽게 고장이 날 가능성이 있고 전류의 바늘이 애매하게 포인트를 가리킬 수 있습니다. 건전지 캡을 꼽아서 전선으로 극을 연결하면 정확한 측정(measurement)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