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현실과 동북아 문명의 未來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13:52
본문
Download : 언어 현실과 동북아 문명의 미래.hwp
culture 의식이 이중적이 되면 자국 culture와 패권 culture에 대한 애증이 겹쳐서 독자 행로를 제대로 설…(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언어 현실과 동북아 문명의 미래.hwp( 86 )
언어현실과동북아문명
언어 현실과 동북아 문명의 未來에 대한 글입니다. 이렇게 culture 사대주의에 빠지면, 자국 culture를 업신여기고 버려 가면서 패권 culture를 무분별하게 추종하게 된다 이로써 극심한 정체성 혼란을 겪게 되는 것이다.
설명
다.






언어 현실과 동북아 문명의 未來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언어 현실과 동북아 문명의 미래에 대한 글입니다.
중국(中國)어의 발음 기호로 더욱 적합한 것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비효율적인 로마자를 발음 기호로 채택하였다는 사실은 culture 사대주의의 대표적인 example(사례) 로 보아 마땅할 것이다.언어현실과동북아문명 , 언어 현실과 동북아 문명의 미래인문사회레포트 ,
1. 현대 동북아 문명의 상황
현대 동북아 세계에서 가장 놀라운 사실은 동북아 문명의 맹주인 중국(中國)이 역사(歷史)상 처음으로 culture 사대주의에 빠져들었다는 사실일 것이다. 중국(中國)이 서구 문명에 대한 culture 사대주의에 빠졌다는 단적인 예는, 자신들의 전통 culture를 비하하고 파괴한 culture 혁명 말고도, 한자의 발음 기호인 자음 부호를 로마자로 채택하였다는 사실에서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현대의 대중 culture가 발달할수록 난해한 표의문자는 문명 발전에 부담이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중국(中國) 문명이 앞으로 로마자화될 날도 멀지 않은 듯이 보인다.
정체성 혼란의 실체는 culture 의식의 이중성에 있다고 보인다. 국민당 政府 시절 만들었던 주음 부호나 5백년 전에 한자의 발음 기호로 test(실험) 되었던 한글이 로마자보다 훨씬 효율적이다.